[금융] 베트남 주가지수와 주식 투자의 의미

작성자
쥬라기
등록일
2013/01/21
조회수
15706

약 한 달 전 베트남 지수는 399 400을 넘지 못했다. 그로부터 한 3주가 베트남 지수는 12.28%가 올라 448에 이르러 있다. 기술적으로는 2008년 고점 이후의 저항 추세를 돌파하여 상승이 보다 가파르게 나타나는 구간이다.


현재 450 아래 머무는 베트남 지수는 핵심도 지수 분석상 1200선을 중기 목표 1800선을 2차 목표로 한다. 이번 10년 사이클의 궁극적 목표는 대략 2700선이나 향후 2000을 넘은 때는 장게 하락을 준비할 때이다.

따라서 이번 장세가 마감되는 2017년까지 베트남 주식에 투자하거나 펀드를 보유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다. 미국 대형주 지수가 대세 천정까지 대략 110%의 상승이 기대되는 반면, 베트남 지수는 핵심도 분석을 기준하여 600%의 상승의 잠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발짝 더...

정치가 변하고 경제가 변하고, 기업이 변하고, 제도가 변해도 사람이 살고 그 사람이 사는데 많은 상품을 필요로 하는 이상,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만들어 파는 기업은 돈을 번다. 특히 인구 증가가 빠를수록 소비품 증가가 빨라 경제성장이 빠르게 나타난다.

 

두 발짝 더...

주가지수란 (상품의 가격 상승) + (상품의 생산량 증가)가 빠른 기업들의 실적에 의해서 결정이 된다. 그래서 늘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물가상승률) + (경제성장률) + (전체 국가 평균에 대한 상장기업의 성장률 격차)의 비율로 오른다.

투자의 실질 수익률이 투자수익률 - 물가상승률이라는 점에서 보면 주가지수 상승률은 물가상승률을 제외한 (경제성장률) + (국가 평균에 대한 상장기업 성장률 격차) 로 결정되는 실질수익률을 갖는다. 이 때 상장기업 성장률 격차는 업의 대형화 집중화될수록 더욱 커져 장기적으로 산업이 집중화 대형화되는 현상을 반영하게 된다.

바로 이런 관계식에서 경제성장에서 내 몫을 얻는 방법은, 전체 평균보다 성장률이 빠르고 집중화되어 대형화되는 기업의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경제성장률)의 이득과 함께 (국가평균에 대한 기업서장률 격차)의 수익을 얻어야 한다.

 

세 발짝 더..

이런 관점에서는 주식은 한나라의 경제 성장에 대한 지분이다. 그래서 국가 성장을 장기로 주도하는 기업의 지분을 그저 보유하는 것만으로 부를 얻는다. 그렇게 부를 얻을 확률은 수십년 장기 주가로 확인해 볼 때 거의 100%에수렴한다.

그러나, 대두분의 주식 투자자는 가격 변동에서 단기 차익을 얻기 위해 매매를 하여 수익의 확률을 50%에 수렴하게 줄인다. 그 결과 내일 기온이 오늘보다 춥냐 덥냐에 돈을 거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얻으며 그 거래 비용으로 망한다.

주식은 이건희 회장이 보는 삼성전자가 위험하지 않는 것처럼 절대 위험하지 않다. 주식투자에서 위험한 것은 바로 투자를 하는 그 사람, 투자자 자신이다.

 

목록